맨위로가기

진저우시 (랴오닝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저우시는 랴오닝성 남서부에 위치한 천 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도시로, 원래 투허로 불렸다. 요나라 때 '진저우'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랴오닝성의 행정 관할에 속하게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랴오시성의 성도가 되었으며, 1954년 랴오닝성에 다시 편입되었다. 현재 3개의 시할구, 2개의 현급시, 2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유화학, 야금, 섬유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주요 관광지로는 랴오선 전역 기념관, 이우뤼 산, 비자 산 등이 있으며, 중국 인민해방군 제40집단군의 사령부가 위치해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곳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저우시 (랴오닝성) - 이우뤼산
    이우뤼산은 중국 동북 지방에 위치하며, 백두산, 천산과 함께 중국 동북 3대 명산 중 하나로 꼽힌다.
  • 랴오닝성의 지급시 - 다롄시
    다롄시는 랴오닝성 남단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경제 특구로서, 러시아와 일본 점령기를 거쳐 중국에 반환되었고, 개혁 개방 이후 경제 발전과 함께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며, 다양한 산업과 무역,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중국 동북부의 주요 도시로 성장하였다.
  • 랴오닝성의 지급시 - 랴오양시
    랴오양시는 랴오닝성에 위치한 지급시로, 요하와 태자하가 흐르는 선양 인근에 있으며, 고구려 요동성, 요, 금나라의 부도, 후금 초기 수도였고 러일 전쟁의 주요 전장이었으며, 현재는 중국 인민해방군 제39기계화집단군 사령부가 위치한 군사적 요충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진저우시 (랴오닝성)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광지사 탑
소릉하
진저우 역 앞 광장
중앙로
공식 명칭진저우시
로마자 표기Jǐnzhōu
기타 명칭Chinchow
종류지급시
행정 구역
국가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구성구, 현급시, 현
하위 행정 구역타이허 구
구타 구
링허 구
링하이 시
베이전 시
헤이산 현
이 현
정치
CPC 당 서기류즈창 ()
시장왕원취안 ()
지리
전체 면적9988.6 km2
도시 면적535 km2
수도권 면적3323.6 km2
해발 고도24 m
인구
전체 인구 (2020년)2,703,853명
도시 인구1,111,849명
수도권 인구1,524,362명
인구 밀도auto
도시 인구 밀도auto
수도권 인구 밀도auto
경제
GDP (지급시)CN¥ 1327억
GDP (지급시, 미국 달러)US$ 213억
1인당 GDPCN¥ 43,207
1인당 GDP (미국 달러)US$ 6,937
기타 정보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 오프셋+8
우편 번호121000
지역 번호416
행정 구역 코드210700
ISO 코드CN-LN-07
웹사이트http://www.jz.gov.cn/

2. 역사

진저우는 천 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고대 도시로, 처음에는 투허(徒河)라고 불렸다. 전국 시대에는 연에 속했고,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후에는 요동군의 일부가 되었다. 한나라삼국 시대에는 유주에 속했으며, 당나라 때에는 안동도호부에 속했다. '진저우'라는 이름은 요나라 때 중경도에 속하면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금나라 때에는 동경부와 북경로에 속했고, 원나라 때에는 요양행중서성에 속했으며, 명나라 때에는 요동도사에 속했다. 청나라 때 진저우의 이름은 진 현으로 바뀌었다.

진저우 (CHIN-HSIEN )이 포함된 지도 (AMS, 1950)


중국 인민해방군이 진저우에 대한 최종 공격을 시작


중화민국 시대에 진저우는 랴오닝성에 속했다. 1945년 국공 내전이 재개되면서 공산당과 국민당 세력 간의 주요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 이곳은 만주에서 산해관을 거쳐 중국 중부로 들어가는 주요 경로였기 때문이다. 1945년 11월 22일 두위밍 휘하의 국민당군이 진저우를 점령하면서 공산당은 임시 휴전에 동의해야 했다.[4]

랴오선 전역 기간 동안, 중국 인민해방군이 중국 동북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시작하면서, 난민들은 남쪽으로 피난하기 위해 도시로 도피하려 했다. 중화민국 육군장제스의 명령에 따라 난민들이 지역을 탈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고, 그들이 도시에서 북쪽으로 30km 떨어진 다링강을 건너려 하자 그들을 향해 사격을 가했다. 린뱌오가 지휘하는 공산군은 1948년 9월에 이 도시를 점령했다.[5]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랴오시성이 설립되었고 진저우는 그 성도가 되었다. 1954년 랴오시성과 랴오둥성이 재합병되면서 진저우는 다시 랴오닝성의 행정 관할에 속하게 되었다.[6]

2. 1. 고대

진저우는 천 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고대 도시로, 원래는 투허(徒河)라고 불렸다. 전국 시대에는 연에 속했고,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후에는 요동군의 일부가 되었다. 한나라삼국 시대에는 유주에 속했으며, 당나라 때에는 안동도호부에 속했다. '진저우'라는 이름은 요나라 때 중경도에 속하면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금나라 때에는 동경부와 북경로에 속했고, 원나라 때에는 요양행중서성에 속했으며, 명나라 때에는 요동도사에 속했다. 청나라 때 진저우의 이름은 진 현으로 바뀌었다.

2. 2. 중세

진저우는 천 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고대 도시이다. 원래는 투허()라고 불렸다. 전국 시대에는 연에 속했다.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후에는 요동군의 일부가 되었다. 한나라 때와 삼국 시대에는 유주 창려군에 속했다. 북위, 동위, 북제 시대에는 영주 관할 하에 들어갔으며, 수나라당나라 시대에는 유성군을 거쳐 연주에 속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안동도호부의 소재지였다.

"진저우"라는 이름은 요나라 시대에 중경부에 속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금나라 시대에는 동경부와 북경부에 속했다. 몽골 제국/원나라 시대에는 요양행중서성에, 명나라 시대에는 요동도사에 속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톈푸가 통치했으며, 진저우에서 '''진현'''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영어로는 '''Chinhsien'''과 '''Chinchow'''로도 알려져 있다.

2. 3. 근현대



중화민국 시대에 진저우는 랴오닝성에 속했다. 1945년 국공 내전이 재개되었을 때, 진저우는 공산당과 국민당 세력 간의 주요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 이곳은 만주에서 산해관을 거쳐 중국 중부로 들어가는 주요 경로가 통과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1945년 11월 22일 두위밍 휘하의 국민당군이 진저우를 점령하면서 공산당은 수개월 동안 지속된 임시 휴전에 동의해야 했다.[4]

랴오선 전역 기간 동안, 중국 인민해방군이 중국 동북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시작하면서, 난민들은 더 남쪽으로 피난하기 위해 도시로 도피하려 했다. 중화민국 육군장제스의 명령에 따라 난민들이 지역을 탈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고, 그들이 도시에서 북쪽으로 30km 떨어진 다링강을 건너려 하자 그들을 향해 사격을 가했다. 린뱌오가 지휘하는 공산군은 1948년 9월에 이 도시를 점령했다.[5]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랴오시성이 설립되었고 진저우는 그 성도가 되었다. 1954년 랴오시성과 랴오둥성이 재합병되면서 진저우는 다시 랴오닝성의 행정 관할에 속하게 되었다.[6]

진저우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14][15]

시기행정 구역 변화
1949년 10월 1일중화인민공화국 랴오시성 진저우시 발족, 1구~7구 성립 (7개 구)
1950년시내 행정 구역 재편, 1구, 2구 발족 (2개 구)
1951년 10월 6일시내 행정 구역 재편, 1구~6구 발족 (6개 구)
1953년 5월 25일진현, 진시현 일부 합병, 7구 발족 (7개 구)
1954년 6월 19일랴오시성 분할, 랴오닝성 진저우시
1955년 7월 6일1구→구타구, 2구→금화구, 3구→금철구, 4구→철북구, 5구→백고구, 6구→신민구, 7구→여아하구로 개칭 (7개 구)
1955년 9월 2일철북구→구타구, 금화구, 금철구로 분할 편입 (6개 구)
1956년 5월 23일백고구, 신민구 일부→금주전구 금현 편입, 여아하구, 신민구 일부→금주전구 금서현 편입 (6개 구)
1956년 6월 22일백고구→금철구, 여아하구→구타구, 신민구→금화구 편입 (3개 구)
1958년 12월 20일금주전구 수중현, 흥성현, 금서현, 금현, 의현, 북진현, 흑산현 편입 (3구 7현)
1959년 3월 28일금화구→구타구, 금철구 분할 편입 (2구 7현)
1959년 4월 16일금철구→링허구로 개칭 (2구 7현)
1961년 2월 8일금서현 일부 분리, 호로도구 발족 (3구 7현)
1962년 6월 4일구타구, 링허구, 금현 일부 합병, 교외구 발족 (4구 7현)
1965년 12월 16일흑산현, 북진현, 의현, 금현, 금서현, 흥성현, 수중현→금주전구 편입 (4구)
1968년 12월 26일금주전구 흑산현, 북진현, 의현, 금현, 금서현, 흥성현, 수중현 편입 (4구 7현)
1969년 9월 9일호로도구→금서현 편입 (3구 7현)
1982년 8월 13일금서현 일부 분리, 난표구, 호로도구 발족 (5구 7현)
1982년 9월 9일교외구→타이허구로 개칭 (5구 7현)
1983년 4월 25일금현 일부→타이허구 편입 (5구 7현)
1985년 1월 17일금서현→시제 시행, 금서시 (5구 1시 6현)
1985년 3월 9일타이허구 일부→링허구 편입 (5구 1시 6현)
1986년 2월 24일타이허구 일부→링허구 편입 (5구 1시 6현)
1986년 12월 13일흥성현→시제 시행, 흥성시 (5구 2시 5현)
1987년 5월 5일타이허구 일부→링허구 편입 (5구 2시 5현)
1988년 8월 4일금현 일부→타이허구 편입 (5구 2시 5현)
1989년 6월 12일금서시→지급시 금서시 승격, 호로도구, 난표구, 흥성시, 수중현→금서시 편입 (3구 4현)
1989년 6월 29일북진현→자치현 이행, 베이전 만주족 자치현 (3구 3현 1자치현)
1993년 11월 16일금현→시제 시행, 링하이시 (3구 1시 2현 1자치현)
1995년 3월 21일베이전 만주족 자치현→시제 시행, 베이닝시 (3구 2시 2현)
2002년 4월 27일링하이시 일부→타이허구 편입 (3구 2시 2현)
2006년 2월 8일베이닝시→베이전시로 개칭 (3구 2시 2현)
2011년 9월 19일타이허구 일부→구타구 편입, 링하이시 일부→타이허구 편입 (3구 2시 2현)



1955년부터 1968년까지 랴오닝성 진저우 전구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기행정 구역 변화
1955년 7월 30일랴오닝성 수이중현, 싱청현, 진시현, 진현, 의현, 베이전현, 흑산현, 장우현, 푸신현, 러허성 베이퍄오현, 차오양현, 링위안현, 젠창현, 젠핑현, 카라친좌익기 편입, 랴오닝성 진저우 전구 성립 (14현 1기)
1956년 3월 1일수이중현 일부→허베이성 친황다오시 산하이관구 편입 (14현 1기)
1956년 5월 16일내몽골 자치구 저우어다 맹 닝청현 일부→링위안현 편입 (14현 1기)
1956년 5월 23일진저우시 바이구구·신민구 일부→진현, 진저우시 뉘얼허구·신민구 일부→진시현 편입 (14현 1기)
1956년 7월 5일허베이성 청더 전구 핑취안현 일부→링위안현 편입 (14현 1기)
1956년 9월 11일진시현 일부 분립, 지급시 후루다오시 (14현 1기)
1957년 6월 14일후루다오시→진시현 편입 (14현 1기)
1957년 6월 27일허베이성 청더 전구 칭룽현 일부→링위안현 편입 (14현 1기)
1957년 7월 20일장우현 일부→내몽골 자치구 저린 맹 포스 기 편입 (14현 1기)
1957년 10월 8일푸신현→자치현 이행, 푸신 몽골족 자치현, 카라친좌익기 및 링위안현·젠핑현 일부 합병, 카라친좌익 몽골족 자치현 발족 (13현 2자치현)
1958년 12월 20일차오양현 일부 분립, 지급시 차오양시, 차오양현·베이퍄오현·링위안현·젠창현·젠핑현·카라친좌익 몽골족 자치현→차오양시 편입, 수이중현·싱청현·진시현·진현·의현·베이전현·헤이산현→진저우시 편입, 장우현·푸신 몽골족 자치현→푸신시 편입
1965년 12월 16일랴오닝성 진저우시 흑산현, 베이전현, 의현, 진현, 진시현, 싱청시, 수이중현 편입, 진저우 전구(錦州専区) 성립 (7개 현)
1968년 12월 26일흑산현, 베이전현, 의현, 진현, 진시현, 싱청시, 수이중현→진저우시 편입



중화민국 성립 초기에는 봉천성 요심도에 속했으며, 1929년 랴오닝성에 귀속되었다. 1932년 만주국 성립 후에는 봉천성 관할이 되었고, 1934년 신설된 금주성으로 이관되었다. 1937년 금주에 시제가 시행되었다. 1948년 국민정부에 의해 열하성이 설치되었지만, 국공 내전 격화로 국민정부는 실효 지배권을 상실했다. 1949년 1월 공산당군에 의해 해방구로서 요서성이 설치되어 성 정부는 금주시에 설치되었다. 1954년 8월 요서성과 요동성이 합병된 후, 전구 제도의 시행에 따라 금주전구가 되었지만, 1968년 전구가 폐지되고 시제가 시행되면서 금주시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

3. 지리 및 기후

진저우는 중위도 대의 계절풍 기후 지대에 위치하여 연교차가 큰 편이다. 사계절이 뚜렷하고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며, 연평균 기온은 8°C~9°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540mm~640mm이다. 진저우의 지리와 자연 조건은 농업, 목축업, 어업과 같은 산업 발전에 기여하였다.[16][17]

진저우시는 랴오닝성 남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판진시, 안산, 선양과 접하고, 서쪽으로는 후루다오와 접한다. 남쪽 해안은 랴오둥만이며, 북쪽에는 차오양푸신이 있다.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wa'')로, 겨울은 춥고 건조하며, 여름은 덥고 습하다. 월평균 기온은 -7.9°C에서 24.3°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9.5°C이다. 연 강수량은 540mm~640mm 사이이며, 대부분 7월과 8월에 집중된다. 연간 일조 시간은 2,682시간으로, 특히 가을과 겨울에 햇볕이 강하다.[16][17]

시 인근 지역에는 이셴층을 포함하여 화석을 포함하는 암석이 노출되어 있다. 조기 백악기 새의 속인 ''진저우오르니스''는 이 지역을 기념하여 명명되었지만, ''콩푸키우스오르니스''의 주니어 동의어인 것으로 보인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1.6°C2.5°C9.2°C17.4°C24.1°C27.2°C29.4°C29.2°C25.4°C17.9°C7.7°C0.3°C-
평균 기온 (℃)-7.1°C-3.2°C3.3°C11.5°C18.3°C22.3°C25.2°C24.6°C19.8°C12°C2.4°C-4.9°C-
평균 최저 기온 (℃)-11.3°C-7.7°C-1.5°C6.3°C13.1°C18.1°C21.7°C20.7°C14.8°C7°C-2°C-9°C-
강수량 (mm)2.5mm3mm7.3mm23.8mm52.4mm94.4mm145.3mm140.9mm40.5mm29.4mm13.7mm3mm-


3. 1. 지리

진저우는 중위도 대의 계절풍 기후 지대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연교차가 큰 편이다. 연평균 기온은 8°C~9°C 정도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540mm~640mm이다. 사계절이 뚜렷하고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진저우의 지리와 자연적인 조건은 농업, 목축업, 어업과 같은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16][17]

진저우시는 랴오닝성 남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판진시, 안산, 선양과 접하고, 서쪽으로는 후루다오와 접한다. 시의 남쪽 해안은 랴오둥만이다. 북쪽에는 차오양푸신이 있다. 랴오닝성 서남부의 샤오링허 (금수) 하구에 위치하며, 동쪽은 판진시, 서쪽은 후루다오시, 남쪽은 보하이만, 북쪽은 차오양시푸신시와 접하고 있다.

진저우시는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wa'')로, 뚜렷한 사계절이 나타난다. 겨울은 춥고 매우 건조하며, 여름은 덥고 습하다. 월평균 24시간 기온은 7월에 -7.9°C에서 24.3°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9.5°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540mm~640mm 사이이며, 대부분은 7월과 8월에 집중된다. 월별 가용 일사율은 7월 45%에서 3개월 동안 68%에 이르며, 연간 2,682시간의 밝은 일조량을 보이며, 특히 가을과 겨울에 햇볕이 강하다.

이셴층을 포함하여 화석을 포함하는 암석이 시 인근 지역에 노출되어 있다. 조기 백악기 새의 속인 ''진저우오르니스''는 이 지역을 기념하여 명명되었지만, 몇 년 전에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콩푸키우스오르니스''의 주니어 동의어인 것으로 보인다.

3. 2. 기후

진저우는 중위도 대의 계절풍 기후 지대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연교차가 큰 편이다. 연평균 기온은 8°C~9°C 정도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540mm~640mm이다. 사계절이 뚜렷하고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진저우의 지리와 자연적인 조건은 농업, 목축업, 어업과 같은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16][17]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wa'')로, 뚜렷한 사계절이 나타난다. 겨울은 춥고 매우 건조하며, 여름은 덥고 습하다. 월평균 기온은 -7.9°C에서 24.3°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9.5°C이다. 연 강수량은 540mm~640mm 사이이며, 대부분은 7월과 8월에 집중된다. 월별 가용 일사율은 7월 45%에서 3개월 동안 68%에 이르며, 연간 2,682시간의 밝은 일조량을 보이며, 특히 가을과 겨울에 햇볕이 강하다.[16][1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1.6°C2.5°C9.2°C17.4°C24.1°C27.2°C29.4°C29.2°C25.4°C17.9°C7.7°C0.3°C-
평균 기온 (℃)-7.1°C-3.2°C3.3°C11.5°C18.3°C22.3°C25.2°C24.6°C19.8°C12°C2.4°C-4.9°C-
평균 최저 기온 (℃)-11.3°C-7.7°C-1.5°C6.3°C13.1°C18.1°C21.7°C20.7°C14.8°C7°C-2°C-9°C-
강수량 (mm)2.5mm3mm7.3mm23.8mm52.4mm94.4mm145.3mm140.9mm40.5mm29.4mm13.7mm3mm-


4. 행정 구역

(2003년 추정)면적 (km2)인구 밀도
(/km2)1타이허구210,000459km24582구타구240,00028km28,5713링허구420,00048km28,7504링하이시600,0002862km22105베이전시530,0001782km22976헤이산현630,0002436km22597이현440,0002496km21768진저우 경제 기술 개발구



이들 행정 구역은 다시 43개의 진(鎭), 69개의 향(鄕), 1680개의 촌(村)으로 세분된다.

4. 1. 시할구

(2003년 추정)면적 (km2)인구 밀도
(/km2)1타이허 구210,0004594582구타 구240,000288,5713링허 구420,000488,750


4. 2. 현급시

링하이 시(凌海市)

베이전 시(北镇市)

4. 3. 현

진저우 시는 2개의 현을 관할한다.

5. 경제

진저우는 다양한 산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주요 산업으로는 석유화학, 야금, 섬유, 제약, 건축 자재 산업 등이 있다.

진저우 시 현급구역


진저우시의 쇼핑몰 사진

5. 1. 주요 산업

진저우에는 다양한 산업이 있다. 주요 전통 산업으로 석유화학, 야금, 섬유, 제약, 건축업 등이 있다.[1]

'''진저우 경제 기술 개발구'''는 1992년에 설립되었다. 랴오닝성에서 승인한 최초의 성급 개발구 중 하나이다. 이 개발구는 진저우항, 진저우 공항 및 여러 국도와 쉽게 연결되는 편리한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1]

시내에는 일부 서양 프랜차이즈가 입점해 있으며, 특히 중국 시장에서 오랫동안 자리를 잡은 KFC가 유명하다. RT-Mart, New-Mart, Do-Do Express는 주요 식료품 및 잡화 소매업체이다. 진저우 은행은 영어 구사 직원이 있는 진저우의 유일한 은행이며, 웨스턴 유니온, 중국 은행 및 기타 많은 은행 서비스도 시내에 있다. Visa 및 MasterCard는 이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몇몇 대형 은행 지점을 제외하고는 진저우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1]

6. 교통

진저우완 공항은 중국 주요 공항으로의 항공 운송을 제공한다. 시내에는 두 개의 기차역이 있으며, 하나는 장거리 노선, 다른 하나는 단거리 노선을 위해 지정되었다. 진저우에서 가장 대중적인 이동 수단은 도보 또는 자전거이다. 택시가 거리에 많으며, 기본 요금은 6CNY부터 시작한다. 버스 노선 또한 시내 전체를 포괄하며 가장 경제적인 교통 수단을 제공하지만, 항상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7. 군사

진저우는 중국 인민해방군 예하 선양 군구를 구성하는 3개의 집단군 중 하나인 제40집단군의 사령부가 있는 곳으로,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중국 북동부 국경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8. 관광

랴오선 전역 기념관, 이우뤼 산, 비자 산, 광지탑 등 다양한 관광지가 있다. 특히 랴오선 전투 기념관은 린뱌오가 이끈 공산당군이 국민당군에 승리하여 동북 지역 해방에 기여한 것을 기념하는 곳이다.[1] 베이전 시에는 동북 3대 명산 중 으뜸으로 꼽히는 이우뤼 산이 있으며, 비자 산은 썰물 때 "천교"라고 불리는 자연 둑길을 통해 걸어서 건널 수 있다.[1]

8. 1. 주요 관광지

랴오선 전역 기념관(遼沈戰役紀念館|랴오선 전역 기념관중국어)은 1948년 랴오선 전역을 기념하는 곳으로, 소총, 기관총, 박격포, 대포, 전차 등 전역 기간 동안 사용된 16,000점 이상의 장비를 소장 및 전시하는 대규모 박물관이다. 수천 장의 사진과 문서도 소장하고 있으며, 박물관 내부에서 가장 잘 알려진 전시물은 회전하는 원형 스크린에 진저우 전투 전체를 재현한 파노라마 사진관이다.

이우뤼 산은 진저우시 베이전시 서쪽에 있는 중국 동북부 3대 명산 중 하나이다. 왕하이 산은 해발 867m로 주봉이며, 베이전 사찰, 선수이 다리, 어포, 관음각, 쓰자오각, 쾅광각, 연꽃 바위, 윈통 및 왕하이 사찰 등 관광 명소가 산 전체에 흩어져 있다.

비자 산은 진저우 남쪽 보하이해에 있는 섬으로, 중국 불교 사찰이 있다. 평소에는 배로만 접근할 수 있지만, 썰물 때는 자연적인 둑길이 생겨 본토와 연결된다. 사람들은 해안에서 비자 산까지 걸어갈 수 있으며, 현지인들은 이 자연 현상을 '톈 차오'(天橋, 하늘 다리)라고 부른다. 산 정상에는 펜 홀더에 놓인 펜과 닮은 석조 정자가 있는데, 여기서 "비자산"(펜 홀더 산)이라는 이름이 유래했다.

만조 시 비자 산 사진


광지탑(廣濟寺塔|광지쓰탑중국어)은 진저우 중심부 구타 공원에 있는 높이 72m의 탑으로, 아름다운 요나라 양식 건축의 예시이다. 팔각형 모양에 1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래의 조용한 사찰은 고대 중국적인 분위기를 더한다. 방문객들은 이른 아침 의식, 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위해 모이는 현지인들을 볼 수 있다. 사찰 부지 입장료는 없다.

진저우 시 시내에는 린뱌오가 지휘하는 공산당군이 국민당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동북 지역 해방으로 이어진 랴오선 전투를 기념하는 랴오선 전투 기념관이 있다. 서남 해안에는 썰물 때 걸어서 건널 수 있는 비가산섬이 있으며, 이 길은 "천교"라고 불린다.[1]

베이전 시에는 동북 3대 명산 중 으뜸으로 꼽히는 이우뤼 산이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북위 시대에 건립된 이 현의 만불당 석굴은 중국 북방 석굴 조상 예술의 보고이며, 다광지 사의 랴오탑, 베이전 묘 숭흥사 쌍탑, 다시후 폭포, 펑궈 사, 베이전 고루, 상·주 청동기군, 룽강쯔 랴오대 제왕릉묘군 등도 주요 관광지이다.[1]

9. 문화

1990년대 베스트셀러 논픽션 소설 중 하나인 ''백조의 노래''(Wild Swans: Three Daughters of China)는 중국 공산당의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전후 진저우시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담고 있다.[1]

10. 자매 도시



진저우 시는 자매 도시 국제기구에 의해 지정된 자매 도시가 한 곳 있다.

11. 저명한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China: Liáoníng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2] 서적 《辽宁统计年鉴-2016》 https://web.archive.[...] 中国统计出版社 2017-06-05
[3] 웹사이트 Jinzhou pronunciation http://dictionary.re[...] 2015-04-25
[4] 서적 The Third Chinese Revolutionary War, 1945-1949: An Analysis of Communist Strategy and Leadership Routelage
[5] 서적 The Tragedy of Liberation: A History of the Chinese Revolution, 1945-1957 Bloomsbury Press 2013
[6] 웹사이트 战史今日10月15日:解放军攻克锦州 http://www.81.cn/js_[...] 2024-03-22
[7]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05
[8]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05
[9] 웹사이트 http://www.weather.c[...] 中国气象局公共气象服务中心 2022-11-29
[10] 뉴스 Chongqing Party boss defends his crackdown South China Morning Post 2009-10-18
[11] 웹사이트 辽宁工业大学 http://www.lnit.edu.[...]
[12] 웹사이트 渤海大学 http://www.bhu.edu.c[...]
[13] 웹사이트 锦州医科大学 https://www.jzmu.edu[...] 2024-07-23
[14]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15] 웹사이트 辽宁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16] 웹인용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10-05
[17] 웹인용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